
"말없이 거울을 들어 사물을 반조하여 보임으로써 인간존재의 본질적 문제를 묻는 명상록" (포스터 발췌)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은 1989년 배용균 감독이 제작한 독립영화로
국내영화 최초로, 서구영화제인 로카르노 국제영화제에서 그랑프리인 황금표범상을 수상받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영화제 중 하나인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1. 줄거리
젊은 스님 기봉은 홀로 살고 있는 앞 못 보는 어머니를 두고 있다. 어머니를 모셔야 하는가,
아니면 그냥 이게 하늘 뜻이니 도를 닦고 승려로서 살아가야할지 고민한다.
그런 고민을 하던 기봉은 어린 동자스님 해진과 살고 있는
노스님 혜곡이 사는 작은 암자를 찾아가 마음 수련을 한다. 그러나, 이런 번민이 이어지고...
한편, 동자스님 해진은 어느 날 새 한마리를 줍게된다.
다친 새를 돌보며 정성껏 치료하지만, 새는 죽고 만다.
죽음에 대해 해진은 고민하게 되고, 혜곡은 자신이 병에 걸려서 오래 살지 못함을 알게 된다.
번민하던 기봉을 탓하던 혜곡은 나중에 자신이 오래 못 살고 죽을 것을 이야기한다.
결국, 혜곡은 입적하고, 그의 시신을 말없이 화장하는 기봉.
그리고, 곁에서 말없이 보고 있는 암자에서 맡아 키우던 황소.
혜곡에 대한 유품을 모두 정리하고 기봉은 길을 떠나려한다.
어디로 가시냐고 질문하는 해진에게 기봉은 답변하는데...
더 자세한 줄거리와 해석은 여기서
https://www.buddhism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044

2. 의도치 않은 유명세
포스터에도 써 있지만 배용균 감독이 각본, 촬영, 조명, 편집, 미술, 소품 등을 모두 담당하고
주연 배우도 전문배우가 아닌
우연히 알게 된 교회 장로님께 부탁해 촬영했을 정도로 저예산 독립영화였다.
감독 역시 이 작품이 데뷔작인데다 흔히 영화감독이 될 수 있는 대학교 영화전공이나 충무로에서 배우지 않고
대학교 순수미술과를 졸업한 뒤 영화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영화가 갑자기 국내최초로 서구권의 큰 영화제에서 대상을, 그것에 더해 4개 부문 특별상을 받아버린 것이다.
충무로는 그야말로 발칵 뒤집혔다.
감독은 갑자기 주목을 받고 문화부에서 상금 4000만원, 옥관문화훈장까지 받게 된다.
흥행도 성공하여 서울관객 13만 8천명, 당시 최고 흥행영화였던 <사랑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에 근접하는 기록을 세웠다.
감독은 두번째 영화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을 제작하지만 흥행하진 못하고
이후 감독을 하차하고 현재도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묘연한 상태이다.

3. 여러가지 판본
원래 극장에서는 135분의 러닝타임으로 개봉하였다.
몇년 후 발매된 레이저디스크도 같은 러닝타임이었다.
영화가 서구권에서 유명해지고, 2007년에 마일스톤 필름에서 리마스터링 dvd로 제작할 때
일부 편집한 장면들을 다시 넣어 145분 감독판으로 만들었다.
한국영상자료원과 배용균 감독은 이것을 정본, 즉 감독의 의도에 가장 들어맞는 판본으로 삼고 있다
이것들은 현재 유튜브로, 또 dvd로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판본이 또 있었으니, 그것은 영화가 개봉하기 전에 편집했다가 점점 줄여나가기 전의 판본인
170분 초기편집판이다.
이것은 원래라면 편집실 밖을 벗어나지 못했어야 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1990년 삼성 스타맥스에서 나온 VHS 비디오테이프는
이 170분 초기편집판을 담고 있다.
필름을 텔레시네(텔레비전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옮기는 작업) 할때 실수로 초기편집판을 텔레시네했거나
의도적으로 긴 버젼을 담았다는 의혹도 있다.
삼성 스타맥스 社는 이 영화뿐 아니라 <아제아제 바라아제>(1989), <개벽>(1991) 등
극장에 개봉할 때 삭제된 장면이 있는 시사회, 해외영화제 출품판을 VHS로 옮겨담았기 때문이다.
삼성 이건희 회장이 엄청난 영화광이었다는 것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4. 공유
수소문 끝에 VHS를 얻게 되어 디지털화했다.
비디오 앞에 붙어있는 광고들을 떼면 딱 170분이다.
유튜브에 올려도 저작권에 걸리지 않아 여기에 공개한다.
구글드라이브 링크도 같이 올린다.
유튜브
구글드라이브 링크
aHR0cHM6Ly9kcml2ZS5nb29nbGUuY29tL2RyaXZlL2ZvbGRlcnMvMXc4MV9LZFVLcXFaOVk2OXRaOEpGdFQ4Z2NUajBLcTBI
(처음 온 분들을 위해 : 이 암호화된 구글드라이브 링크에 들어가는 법은 여기 를 참조해 주십시오 )
이 영화는 한국 영화사의 소중한 유산으로서
자기만 갖고 있다고 떠벌리고 공유하지 않는 사람의 손에 넘어가는 것만은 막고싶었다
따라서 한국영화, 독립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안심했으면 좋겠다
한국의 보물을 세계의 누구든지 볼 수 있도록 공유하겠다. 약속한다.
5. 곧 4K화질로 리마스터링 공개 예정?
사실 이 초기편집판의 네거티브 필름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소장 중이고
2020년에 배용균 감독의 감수를 통해 2021년 4K 리마스터링으로 공개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물론 감독판인 145분도 함께 말이다.
그런데,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으니 답답해진 디시의 모 갤럼이 한국영상자료원에 문의를 해 본 결과

복원은 2021년에 진즉 마쳤으나 배용균 감독의 최종 컨펌이 나지 않아 공개가 어렵다고 한다.
위에서 VHS로 볼 수 있지만 화질이 너무 좋지 않다.
하루 속히 원본 4K 리마스터링 버전을 블루레이,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게 되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