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기 헐리우드 영화에서는 주목할 만한 차량의 추격 연출이 많지 않다.
당시에는 서부극이 크게 인기를 끌었기에 차량 보다는 말이나 마차를 탄 추격 연출이 많았다.
차량의 추격 연출이 말과 마차의 추격 연출과 뚜렷하게 차별화 된 특징이 있을까?
답은 그렇다.
그리고 그 특징은 의외로 고전기 헐리우드 영화에서 보인 자동차 추격 연출에서도 찾을 수 있다.
라울 월쉬의 "background to danger (1943)"의 추격 씬을 보자.
이 추격전에서는 최근 영화의 자동차 추격전에서도 나오는 원형적인 장면들이 나온다.
다음 짤들을 보자
위 짤들은 서부극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질주하는 피사체가 90도 가까운 측면에서 화면의 대각선 가까운 방향으로 빠져나갈 때
배경과 피사체간의 극적인 변화 때문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역동성이 생긴다.
완전 측면에서 보이는 자동차가 화면에서 크게 보이면서 배경과의 관계가 타이트해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보이는 자동차가 화면에서 작게 보이면서 배경이 매우 크게 보인다.
이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ouvellevague&no=1517442&s_type=search_name&s_keyword=ddd&page=1)
그런데 이 방식은 앞서 언급했듯 서부 영화에서도 많이 쓰이는 것이라서 자동차만의 특별함이라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다음 짤을 보자.
위 짤을 보면 자동차가 도로에서 이리 저리 회전하고 미끄러지면서 화면에 어떤 불안감을 조성한다.
또한 자동차를 탄 인물의 시점에서 마치 흔들리는 것 같은 도로가 보인다.
이것이 오늘날에도 널리 쓰이는 자동차 추격전의 시그니처다.
서부 영화에서 비교적 일정한 방향으로 달리는 말/마차와 달,리 자동차는 급회전의 묘사를 적나라하게 보인다.
다음 짤을 보자.
이 짤에서 먼저 번, 짤과 차별화 된 점은 이 짤에서는 달아나는 자동차를 맹렬히 추격하는 시점의 장면들이 보인다는 것이다.
추격하는 사람들의 시점에서 보인 배경부터 이리 저리 화면에서 급회전 되어 보이는 것도 모자라,
여기에 더해 추격 받는 차까지 급회전으로 보이기에 관람자는 그야말로 얼이 빠지게 된다.
이런 연출은 고전기 헐리우드 (1925~1950년대) 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이런 정신 없는 연출은 1960년까지도 많이 없다.
개인적으로 1960년대 영화 중 가장 현란(?)한 자동차 추격 연출을 보인 영화는 "the italian job" (1960) 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영화의 자동차 추격전은 월쉬의 영화 같은 얼이 빠지는 광경은 없다.
다음 짤들을 보자.
"the italian job" 후반부에서 보인 자동차 추격전은 차가 계단으로 내려가거나 물에 빠지거나 별의별 광경이 나오지만
자동차들이 향하는 방향이 비교적 일정해서 혼란이 느껴지기보다 오히려 정돈 된 느낌이 든다.
두 번째의 짤의 다음 두 컷을 보자.
화면 전경에 진한 회색(?)색깔의 경찰차가 화면 후경에서 보이는 두 대의 차량을 가로막는다.
화면의 스릴을 살리려면 후경의 자동차들의 경찰차에 밀접하게 붙어 급회전을 한다거나, 어떤 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할텐데
두 번째 장면에서 보듯이 도망치는 차량(후경의)들은 경찰차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여 안전하게 이 상황을 빠져나간다.
위 연출에서 보듯이 아무리 자동차가 다니는 장소를 색다른 곳(계단이든, 강가이든)으로 설정해도
쫓고 쫓기는 자동차간의 관계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어떤 긴박함이 제공되지 않는다.
"the blues brothers (1980)" 의 한 짤을 보자.
이 짤에서는 도주하는 챠량과 이를 가로막는 경찰차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거미줄처럼 재수 없게 꼬이는 경찰차들의 모습이 처절하게 보인다.
이 짤의 장면간 관계는 언뜻 보면, 정신 없는 것 같지만 상당히 체계적으로 이뤄져 있다.
1
2
3
4
위, 장면들에서 가장 집중해서 볼 것은 도주인들의 차와 이를 측면으로 가로막는 경찰차의 밀접한 관계다.
1번 장면에서 도주자의 차는 경찰차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경찰차와 평행이 되도록 움직이다.
그런데 2번 장면에서 1번 장면과 반대 방향에서 (가상선을 넘어서) 도주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1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화면 왼쪽을 향하는데 2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화면 오른쪽을 향한다.
굳이 가상선을 넘어서 보인 이유는 도주자들을 뒤쫓는 경찰 차들이 도주자들을 가로막는 경찰 차와 충돌해
박살나는 광경을 제대로 보이기 위해서 일 것이다.
3-4번 장면의 관계를 잘 봐라.
3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2번 장면의 방향과 동일하게 화면 오른쪽으로 슬쩍 빠져나가고
이들을 잡기 위해 추격하는 경찰차들이 제어를 못해 차가 뒤집혀서 자기편 (가로막는 경찰차)과 충돌하고
다른 경찰차들까지 연쇄적으로 박살 나는 광경이, 일단 '차 앞쪽'에서 보이기에, 화면에서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시원하게 보인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로 카메라가 가상선을 넘었기 때문이다.
만약 카메라를 1번 장면의 축에서 보였다면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4번 장면처럼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랬다면 뒤집힌 차가 화면의 후경에서 보여, 4번 장면에서 전경에서 보인 차처럼 처절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위 짤에서도 차가 뒤집힌 광경이 후경에서도 보인다.
그런데 이건 전경에서 보인 차들이 연속적으로 뒤집히는 광경에 정당성(?)을 보이기 위해서 활용된 것이다.
아래 장면들을 비교해보자.
5
6
7
여기서 5번 장면은 1번 장면과 동일한 축에서 보인다.
따라서 추격하는 차가 뒷면에서 보이고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화면 후경 쪽에서 보인다.
화면 후경에서 보이는 이유는 3~4번 장면에서 앞선 차가 이미 앞면에서 보였기 때문에
새로운 차가 다시 뒤집히는 광경을 보이려면 그저 차량을 앞면에서 계속 보이기 보다는 차량의 후면과 교차해서 보이는 것이
더 극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5번 장면의 후경에서 뒤집힌 차는 6번 장면에서 4번 장면과 같은 축에서 앞면에서 보이고, 방향이 화면 전경 쪽을 향한다.
그리고 7번 장면에서 뒤집힌 차가 화면을 가득 채우며 5번 장면과 극적인 대비를 이룬다.
이렇게 자동차들이 슬라이딩 하듯이 이러 저리 움직여 다른 차들도 연쇄적으로 뒤집어지거나 그 관계가 꼬여버리는 광경은
자동차 추격 장면에서 최상의 쾌감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런 광경을 잘 보이려면 장면간의 인과관계를 잘 살펴야한다.
이것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관람자가 도대체 추격전에서 뭐가 벌어지고 있는지 인식하기 어렵게 한다.
"baby driver(2017)" 의 한 짤을 보자
이 짤에서는 빨간 차가 급회전하여 슬라이딩으로 멋지게 주변 장애물을 벗어나가는 광경이 보인다.
그러나 이건 장면간의 인과관계가 이상해서 관람자에게 어떤 혼란을 유발한다.
다음 장면들을 비교해보자
1
2
3
이 짤에서 1~2번 장면 연결은 문제가 있다.
불필요한 피사체를 강조해서 관람자를 헷갈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빨간 차의 시점(1번 장면)에서 진로 차단을 하는 것 같은 트럭이 (살짝 움직이는 상태에서) 근거리에서 보이기에
관람자는 다음 장면에서 당연히 이 트럭과 빨간 차가 충돌하거나 그 직전까지 가는 광경을 예상할 것이다.
그러나 2번 장면에서는 그런 자연스런 예상과는 전혀 다른, 생뚱맞은 광경이 나온다.
2번 장면에서 보인 트럭이 1번 장면의 트럭과 모양이 얼추 비슷해서
관람자는 1, 2번의 트럭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저 트럭이 언제 저곳으로 이동했지?' 와 비약을 느낄 수 있다.
사실, 2번 장면에서 트럭은 1번 장면의 트럭과 다르다.
그러나 관람자는 2번 장면에서 트럭과 빨간차의 밀접한 관계를 예상할 것이기에
이 장면에서 크게 보이는 트럭을 진로 차단하는 트럭이라고 볼 확률이 높다.
이는 결국, 관람자에게 혼란을 안겨 줘 곧이어 이어질 '진짜' 진로 차단하는 트럭과 빨간 차량의 관계를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런데 곧 이어질 장면(3번)조차 그 자체로 문제가 있다.
사실, 1번 장면의 트럭은 3번 장면의 후경에서 작게 보이는 트럭이다.
그러나 관람자는 이 트럭의 관계를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기 어렵다.
1번 장면에서 빨간 차량의 시점에서 가로막는 트럭은 근접해서 보이는 반면, 3번 장면의 트럭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기 힘들 정도로 멀리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관람자의 관점에서는) 3번 장면에서 빨간 차량이 급회전 슬라이딩해서 그 트럭을 피할 어느 정도의 공간이 인과관계로 성립되기 힘들다.
앞서 언급한 대로 1번 장면에서는 이 둘의 관계가 밀접한 근거리로 보이지만, 3번 장면에서 오히려 거리가 멀어진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1번 장면에서 보인 차량의 밀접한 근거리 관계는 실제로는 좀 더 멀리 떨어진 관계라서 슬라이딩할 공간이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관람자의 관점에서는 3번 장면의 빨간 차량과 가로막는 트럭과의 관계가 1번 장면의 관계보다 떨어져 보이기에
이걸 순차적인 관계로 지각할 수 없고, 그렇기에 1, 3번 장면의 트럭이 동일한 것으로 인식될 수 없을 것이다.
왜 이렇게 관람자의 관점에서 인과관계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연결이 나왔을까?
우선, 영화를 만드는 이들이 장면간의 빠른 전환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장면간 관계를 제대로 지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장면을 전환 시켜서 장면간 인과관계의 부실함을 대충 넘긴다
덧붙여 이러한 차량 추격 장면은 여러 날에 걸쳐 나눠서 찍는 경우가 많기에, 만드는 사람들부터 장면 간의 인과관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확률도 클 것이다.
그러나 이런 연결을 고수하면 제대로 된 자동차 추격 장면을 즐기기 힘들 것이다.
아무리 관람자가 장면간의 관계를 신경 쓰지 않아도
2번 장면과 같은 생뚱맞게 강조된 트럭의 모습은 관람자에게 혼란을 유발해
관람자가 도대체 이 씬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조차 인식하기 어렵게 한다.
다음 글에서는 "baby driver"의 오프닝 추격 시퀀스를 전반적으로 다뤄서 어떤 문제가 계속 발생되는지 논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