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800.png)
안녕, 레붕이들. 이번 93번째 시간에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2012년작 영화 <장고: 분노의 추척자>에서 묘사된 연방보안관에 대해 짧게 글을 갈겨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해.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682.png)
영화 초반부, 노예 신분이던 '장고'와 함께 텍사스 주 도트리 마을에 당도한 순회 치과의사 '킹 슐츠'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다짜고짜 마을 내 살롱에서 주인장을 협박하여 보안관 소환을 강요하는 행패를 부림.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283.png)
어안이 벙벙해질 만한 슐츠의 기행에, 순진한 장고조차 그가 평범한 치과의사가 아닐 것임을 대번에 간파함.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1354.png)
역시나 장고의 짐작대로 그는 평범한 사람이 아니었고, 순회 치과의사는 위장용 직업일 뿐, 자신은 '현상금 사냥꾼'(Bounty Hunter)이라며 순순히 정체를 밝히는 슐츠.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249.png)
인간을 사냥하고, 그 사냥한 인간을 거래한다는 점에서 노예 매매상과 비슷하다며, 현상금 사냥꾼에 대해 주절주절 설명하는 슐츠.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252.png)
'사람을 죽였는데, 벌이 아닌 포상을 받는다'는 개념에 충격을 받는 장고. 과연 서부개척시대의 폭력성과 야만성의 단면을 보여주는 직업이라 하겠음. 이에 슐츠는 '범죄자에 한해서'라고 보충 설명을 해 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6563.png)
그렇게 짧은 담소를 나누던 도중, 어느새 살롱에 도착한 보안관.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600.png)
중후한 포스를 한껏 내뿜으며 걸어들어오는 저 거구의 사내가 바로, 미국의 특정 카운티(County) 및 특정 마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민간 자율방범대(自律防犯隊)의 장(將)인 '보안관'(Sheriff) 되시겠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583.png)
마을 내 치안 교란 혐의로 둘을 체포하려는 보안관.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4409.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952.png)
그런데 그 순간, 묵묵부답으로 멀뚱멀뚱 서 있던 슐츠가 돌연 소매에 숨겨 둔 데린저로 보안관의 복부에 총격을 가함.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740.png)
백주대낮에 법 집행관에게 총격을 가하는 슐츠의 또라이 짓에, 장고를 포함한 마을 주민들은 일동 경악.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894.png)
하지만 주민들의 비난에도 전혀 개의치 않고, 태연히 두 번째 총격을 가해 몸소 저승행 편도 티켓을 끊어주는 슐츠. 이로써 슐츠는 마을 내 치안 교란 혐의에 살인까지 더해져 법정 최고형인 교수형 확정.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6128.png)
어지간한 무법자들도 후환이 두려워 시도하지 않는, 보안관 살해라는 중범죄를 저지르고도 아주 의기양양하고 여유만만한 표정으로, 급기야 '연방보안관'(U.S. Marshal) 호출까지 요구하는 슐츠.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525.png)
당대 연방보안관들이 어떤 존재인지는 삼척동자 코흘리개, 바보천치들도 익히 알고 있을진데, 도망은커녕 살롱 안에서 맥주나 마저 재끼면서 연방보안관의 강림을 기다리자는 슐츠. 이에 신종 자살법인가 싶어 극도의 혼란에 빠지는 장고. 구태여 호랑이굴로 기어들어가 날 잡아먹어주쇼 하고 호랑이를 도발하는 꼴이니, 장고 입장에선 '아니, 이 양반. 교양이란 교양은 다 떨더니, 그냥 순 개또라이 새끼였잖아' 싶었을 듯.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9015.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653.png)
이윽고 중무장한 장정들 다수를 이끌고 친히 범죄 현장에 강림하는, 중범죄자 전문 도살꾼인 연방보안관 나리. 이들은 하는 일이 일인지라 사람 패죽이고 쏴죽이는 데에 도가 튼 살인 전문가들이며, 따라서 본 연재글 시리즈에서 숱하게 이야기한 대로 당대의 범죄자들에게 있어 연방보안관의 강림은 곧 문자 그대로 좆됐다고 보면 됐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3091.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668.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392.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3099.png)
자, 그럼 여기서 우선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보안관과 연방보안관의 외적 차이인데, 이전에도 서술했던 대로 당대의 보안관은 정복 차림의 정식 경찰관이 아니라 시골의 민간 방범대장에 더 가까웠던지라, 본 영화를 비롯한 수많은 서부극에서 보안관은 대부분 읍내 파출소장 느낌으로 후줄근한 사복 차림의 동네 아저씨 같은 인상으로 묘사되지만, 이에 반해 연방보안관은 과연 연방정부 사법부(Department of Justice)를 대표하는 엘리트 공무집행관답게 그 옷차림 가다와꾸부터가 딱 잡혀 있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9501.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4616.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534.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6222.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985.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9948.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186.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368.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791.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1429.png)
사실 당대의 연방보안관들에게 어떤 표준화된 정복이나 근무복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서부극을 소재로 한 창작물에서 숱하게 묘사되듯이 연방보안관들은 대체로 검은색 계통의 정장을 즐겨 입었음. 이는 표적에게 법의 귄위와 엄중함을 시각적으로 경고하여 공포심을 심어주는 게 주 목적인데, 이를테면 현대의 특수부대원들이 생화학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려는 실용적인 목적도 있지만, 겸사겸사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냉혹한 이미지를 적에게 강요하여 기세를 꺾고 움츠러들게 만들 심산으로 방독면을 착용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달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4459.png)
또한 굉장히 사소한 디테일이긴 하나, 검은색 계통의 정갈한 차림새와 연방정부의 대행자라는 막중한 체통에 걸맞지 않게 길바닥에 걸쭉한 가래침을 찍 하고 흥건히 뱉는 저 천박한 행태는 과연 폭력의 시대하에 길들여진 특유의 야만성을 숨길 수 없음을 나타내는 소소한 연출이라 할 수 있겠음. 말인즉 서부개척시대가 비문명시대와 문명시대의 과도기로서,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에게 깊게 각인된 특유의 야만성과 천박함은 비단 범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당대의 법 집행인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는 의미로써, 이를테면 법을 어기는 야만인과 법을 집행하는 야만인의 차이만이 있을 뿐.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2399.png)
"체포 영장 받아라 새끼야! 넌 좆됐어 이제."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293.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1113.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12.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844.png)
사실 연방보안관들은 최일선 현장에서 대화 따위가 안 통하는 연방 차원의 흉악 범죄자들과 직접 드잡이질을 벌여 도축해 오면서 몇 번이고 생사의 기로를 넘나들었던 인간 사냥꾼 양반들이니, 거추장스러운 사소한 체통 지키기 따윈 아무래도 상관없겠지. 그런 쓸데없는 걸 신경썼다간 표적에게 죽임을 당할 입장에 놓여 있으니까. 따라서 이들은 체통 따위는 사치에 불과하니 다 내던지고, 그냥 닥치고 범죄자만 잘 잡아끌고 오거나, 잘 찢어죽이면 그만이었음.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948.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6397.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7030.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5266.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115.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9995.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9891.png)
현상금 사냥꾼, 즉 같은 법 집행인 신분으로서, 당대 법 집행관들의 정점인 연방보안관의 극도로 폭력적이고 잔혹한 집행 스타일을 모를 리 없으니, 문답무용으로 진압당할 걸 우려하여 미리 언질부터 깔아두는 킹 슐츠의 모습. 해당 연출을 통해 당대의 연방보안관들이 범죄자들에게 있어 얼마나 공포스런 존재였는지 재차 실감할 수 있음. 더불어 킹 슐츠가 천하의 연방보안관 앞에서도 주눅들지 않을 만큼의 비범한 카리스마를 지닌 호걸이라는 것도.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8256.png)
![](/data/board/hot/2407/240721/249311-2407211744254564.png)
과연 연출의 귀재 타란티노답게 짧지만 강렬하게 당대 연방보안관을 묘사하고 있음. 사실상 연방보안관과 관련된 4번째 단독 주제 글이네. 당대 극강의 알파메일답게 계속해서 쓸 거리가 나오는, 서부개척시대의 화수분같은 존재임. 그럼 다들 이번 글도 읽느라 수고 많았고, 다음에도 또 재밌는 주제로 찾아오도록 할게. 또 보자 게이들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dr2&no=375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