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대선이 치열해지면서 현지 유권자들의 관심도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보면 팬덤 현상은 미국도 마찬가지인가봅니다.
후보자들의 이름이나 슬로건이 새겨진 기념품이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 공화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던 위스콘신주 밀워키 전당대회 현장.
트럼프 팬들은 개성 넘치는 방법으로 지지를 표현합니다.

열성 팬들을 위해 대회장 한쪽에는 아예 트럼프를 주제로 한 각종 캐릭터 상품, 이른바 ‘굿즈’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를 대표하는 구호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라는 문구가 새겨진 형형색색 모자부터 재판에서 ‘벌금 폭탄’을 맞고 소송 비용과 선거자금 마련을 위해 내놓은 성경책이나 황금 스니커즈까지 없는 게 없습니다.

워싱턴 D.C. 거리 곳곳에는 기념품을 판매하는 가판대가 있는데요. 올해 있을 대선을 기념한 상품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총격 피습을 당했을 때 장면을 프린팅한 티셔츠는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굿즈 판매 수익이 해당 정치인의 소액 후원금으로 분류되다보니 선거 캠프 측도 제작에 적극적입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관련된 상품도 다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바이든이 후보직에서 사퇴하면서 기념품 가게에는 해리스 관련 상품들이 전면 배치되고 있습니다.

손가락에 끼우는 형태의 인형이나 오븐용 장갑 등 생활 밀착형 상품도 있습니다.

특히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가 되자 캠프 측은 굿즈 추가 제작에 나섰고 ‘선주문’까지 받고 있습니다.

굿즈 구매자 10명 중 7명은 지지 후보를 직접 홍보하기 위해서 구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렇다보니 컵이나 티셔츠에 불과했던 대선 후보들의 굿즈는 선거가 거듭될수록 병따개나 파리채 등 기상천외한 상품으로까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나친 상술이라는 비판도 받지만 굿즈는 미 대선을 앞둔 미국에서 하나의 ‘선거 문화’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81245
- [채널A] 해리스 "트럼프 이상하다" 트럼프 "해리스는 극좌 미치광이"

100일도 채 안 남은 미국 대선, 예측 불가 양상입니다.

바이든의 중도포기와 트럼프 피습으로 승부가 갈렸나 했더니 해리스 부통령이 무섭게 치고 올라가더니 호감도에서 트럼프를 역전했습니다.
어느새 후원금도 2800억 가까이 모였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재선 포기 이후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로 떠오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현지시각 어제 ABC뉴스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리스의 호감도는 43%로 일주일 전보다 8%포인트나 올라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질렀습니다.
반면 트럼프의 호감도는 4%포인트 떨어진 36%로 나타났습니다.

바이든 사퇴 후 민주당 원로들과 유명인들이 해리스로 결집하기 시작했고 최초의 여성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호감도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미 정치권 안팎에서는 해리스 등판 1주일도 안 돼 미 대권 경쟁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해리스 측은 기세를 몰아 최고령 후보가 된 트럼프가 ‘이상한 후보’라며 역공에 나섰습니다.

해리스의 발언 이후 이상하다는 뜻의 영어 단어‘위어드’는 민주당 지지층을 중심으로 SNS에 확산되면서 캠페인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는 '고상한 바이든은 쓸 수 없었던 표현'이라면서 해리스가 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전략을 내놓은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해리스 캠프 측은 일주일 만에 바이든이 3개월 동안 모은 금액보다 많은 2억 달러, 우리 돈 2765억 원을 모았다고 밝혔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81243

이렇게 해리스가 추격해 올 수록 트럼프의 공세도 거세지고 있는데요.
해리스는 극좌 미치광이다, 독설 수위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총격 사건' 이후 국민 통합을 강조하며 여유있는 태도를 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하지만 민주당의 유력 대선 후보가 조 바이든 대통령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으로 넘어가자 다시 독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그의 막말은 "무능하다"부터 "돌처럼 멍청하다", '미치광이'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모든 것이 해리스의 무능함 때문이라며 "나는 변하지 않았고 아마 더 나빠졌을지도 모른다"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해리스 등판으로 다급해진 트럼프를 꼬집으며 "당혹스러워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인종 성별 등 가릴 것 없이 공세 수위를 계속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초조해진 것은 지지자도 마찬가지입니다.
트럼프를 공개 지지한 테슬라 최고 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SNS에 해리스 관련 영상을 공유했는데 알고 보니 인공지능 AI로 만든 가짜 영상으로 드러난 겁니다.


논란이 일었지만 머스크는 공식 사과 없이 "패러디는 합법"이라는 입장만 남겼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8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