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 6주 이후로 낙태를 전면 금지한 낙태 금지법, 미국 대선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해리스 부통령이 이 법은 트럼프 법이라 비판하며, 여성 지지층 공략에 나섰거든요.

현지시각 어제 미국 아이오와주에서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이 시행됐습니다.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즉각 성명을 내고 이 법을 '트럼프 낙태금지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이오와주 법 시행의 계기가 된 것이 2년 전 미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인정 폐기 결정인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임명된 대법관들이 주도했다는 겁니다.

낙태권 보호를 주장하는 해리스는 트럼프 맹공을 통해 여성 지지자들을 결집시키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때마침 트럼프의 러닝메이트인 J.D. 밴스 상원의원이 과거 "강간 피해 여성의 낙태도 안 된다"는 발언으로 비난을 받자 공세의 고삐를 더 조이는 분위기입니다.

이런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트럼프 때리기로 해리스 지원사격에 나섰습니다.
4년 전 트럼프의 대선 뒤집기 혐의에 대해 최근 미 연방대법원이 면책 특권을 인정한 것이 잘못이라며 대법관 임기에 제한을 둬야 한다고 주장한 겁니다.

이와 관련해 해리스도 성명을 내고 대법원이 신뢰 위기를 겪고 있다며 연방대법원 개혁을 촉구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8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