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전 세계는 2024 파리 올림픽의 열기로 가득
우리나라 역시 올림픽의 열기로 뜨거운데
특히,탁구의 열기가 엄청 뜨거운데
특히,지난 7월 30일에 있었던 혼합복식 동메달 결정전에서 신유빈,임종훈이 홍콩선수들을 세트 스코어 4:0(탁구는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처럼 7전 4선승제임)로 압살을 시켜 동메달 획득에 성공해 탁구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을정도
(여담으로 이 동메달이 한국탁구의 12년 만의 올림픽 메달이라고 함)
그렇다면 한국 탁구의 올림픽 금메달史는 어떻게 될까?
탁구가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들어간 것은 생각보단 오래되지는 않았음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부터 탁구가 올림픽 정식종목이 되었는데
그 중 중국이 현재까지 35개의 금메달을 따냈다고 함
우리나라의 역대 올림픽 탁구 금메달은 현재까지 총 3개인데
그래도 이 금메달 개수가 중국 제외하면 1위기록 이라고 함
우리나라 최초의 탁구 금메달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유남규 現 MBC 탁구 해설위원이 남자단식에서 우리나라의 김기택을 꺾고 차지를 했음
유남규는 이로서 올림픽 초대 남자단식 탁구 금메달리스트라는 명예도 얻게 되었음
두번째 금메달은 현정화-양영자로
이분들 역시 88올림픽에서 여자복식에서 중국의 천징-자오즈민(안재형의 아내)을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하게 되었고 올림픽 여자복식 초대 금메달리스트가 될 수 있었음
이 대회가 현재까지 중국이 탁구 여자복식에서 금메달을 따지못한 대회라고 함
그리고 세번째 금메달이자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올림픽 탁구 마지막 금메달의 주인공은 유승민
현재 IOC 위원인 유승민 위원이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탁구 남자단식에서 중국의 왕하오를 4-2로 누르고 16년만에 한국탁구 올림픽 금메달을 차지하게 되었음
그리고 이 금메달을 마지막으로 안타깝지만 우리나라 탁구에선 더 이상 금메달이 나오지 않고 있어
물론 중국 탁구가 우리나라 양궁마냥 압도적으로 강력하다 보니 금메달을 따는게 쉽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꼭 우리나라가 중국을 꺾고 다시 올림픽 탁구 금메달을 따고 왔으면 좋겠다.
아직 파리올림픽 탁구도 남자복식,여자복식 남았다고 하니
우리 선수들이 정말 최선을 다해 다치지 않고 멋진 경기했으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