씹덕이든 아니든 어쩌다 한 번쯤은 접해봤을 캐릭터 디지캐럿
대강 설명하자면
'게이머즈'라는
오타쿠매장 마스코트 캐릭터로 출발한 캐릭터
태생이 태생이다 보니
오타쿠들이 좋아할만한 요소들을
최대한 넣은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덕분에 씹덕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고
인기에 힘입어 애니화까지 되면서
씹덕들 사이에서 인기가 더욱 선풍적으로 퍼졌다
옛날에 챔프서 새벽에 틀어주던 게 이거였었다
지금은 -틀- 소리 듣는 콘텐츠지만
자타공인 모에 문화의 선구자 격일 정도로
한때 씹덕계를 풍미했었다
그리고 22년에는 신작이 방영되기도 했었다
아무튼 한때 씹덕계에서 이름을 날렸던 것으로
유명한 디지캐럿이지만
이 캐릭터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의외의 역사가 있다
다름 아닌
한때 헬로키티나 도라에몽과 같은
국민 캐릭터를 목표로 삼았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
즉 오타쿠용 캐릭터로 출발한 디지캐럿을
윗짤 속 캐릭터들처럼
넓은 층이 즐기는 캐릭터 상품으로 키운다는
전무후무한 계획을 세웠었다
2002년 파뇨파뇨 디지캐럿이라는 아동용 외전을 내놓아보고
(한국에서는 뽀뽀뽀 코너로 방영)
이후 2003년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한다
-브로콜리(디지캐럿 제작사)가 디지캐럿의 전개를 확대
-저연령층에게도 소구해 라이센스 수익의 확대를 노린다
-4월부터 방영되는 신작은 초등학생~미취학 아동도 즐길 수 있는 내용으로 변경해 시청자층의 확대를 노린다
-타카라로부터의 여아 완구 전개와 소녀만화잡지 챠오에서의 만화 연재를 통해 단번에 인지도 확대를 노린다
새로운 TV 시리즈 디지캐럿뇨 발표
52화나 되는 장편으로 제작
시간대도 아이들이 많이 보는 일요일 아침 9시 30분으로 편성
방송사도 전국으로 확대
메인 타겟층도 여아층으로 설정
탑블레이드등을 만들었던 타카라를 스폰서로 확보해
여아용 완구도 전개하고
소녀만화잡지인 챠오(웨딩피치, 햄토리, 미르모 퐁퐁퐁등이 연재된 잡지)에서 만화도 연재
소녀층을 겨냥한 만화잡지까지 출간
설정도 싹 갈아엎고
작품의 스타일도
대중적인 느낌의 일상개그물로 바꾸었다
대표적으로 배경을 아키하바라에서
친숙하고 서민적인 분위기의 상가로 변경
대충 짱구, 도라에몽, 마루코 같은 작품을 의도한 느낌?
거의 사운을 걸었다시피 한 대규모 프로젝트였으며
"처음부터 이 캐릭터는 어린이들에게도 널리 퍼질 것이라 확신했다"
"세대와 성별을 불문하고 사랑받는 '아키하바라 출신 국민 캐릭터'가 되어줬으면 좋겠다"
"'굿즈가 팔리는 사자에상(*일본의 장수 국민애니)'을 목표로 하겠다"
와 같은 야심찬 포부를 내걸었다
'디지캐럿을 국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싶다'는 사장의 야망과
'아키하바라발의 국민 캐릭터'로 키우기 위해 힘내겠다는 타카라 임원
그렇게 만반의 준비를 거쳐
2003년 4월 방영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결과는?
예상했겠지만 좋지 못했다
애초에 성공했었으면
디지캐럿은 아이들에게 인기 있었던 캐릭터로 뇌리에 남았었을테고
이 글도 쓰여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때 디지캐럿뇨가 경쟁해야 했던 작품은 무엇인고 하니
50주년 기념으로 리부트되었던 아톰이었다
대중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발걸음을 떼려는데
초장부터 이 분야 대부와 경쟁해야 하는
무슨 운명의 장난 같은 상황
아톰은 첫화부터 11%를 찍을 정도로
호조의 시청률을 기록하는 동안
디지캐럿뇨는 평균 2~3% 정도를 기록한다
차이가 나도 너무나도 났었다..
아동애니 매출의 핵심인 완구도
실적이 별로여서
고작 핸드폰 장난감, 고무단 스테피, 수첩 이 3개를 끝으로 끊겼다
특히 고무단 스테피라는 완구는
내용물이
옛날 여자아이들 놀이인
고무줄 놀이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고무줄이 전부였고
그걸 만원 상당의 값에 팔았어서
무슨 생각으로 내놓은건지 모르겠다는 혹평이 넘쳐났었다
본작의 부진으로
브로콜리는 18억엔의 적자에 허덕이다
2003년 8월 완구 스폰서인 타카라에 인수되어 연명하였으며
10월에는 방송국 20국 중 12국에서
조기종영까지 된다
2004년에는 특단의 조치를 취한다
지금까지 등장했던 소녀들을 총집합시켜
프린세스 스쿨이라는 학교에 다니며
훌륭한 공주님이 되기 위한 수업을 받는다는 내용으로 바꿔본다
이전보다도 더욱 여아 취향에 맞는 내용으로 바꿔서
반등과 연장방영을 노렸던 듯 싶다
하지만 방영 말기에 들어오고 나서야 변화가 이루어 졌다는 건
늦어도 너무나도 늦은 때였고
결국 연장방영 없이 그대로 끝난다
그렇게 디지캐럿의 국민 캐릭터화 계획은 실패로 끝.
당초에는 본작을 기점으로 타겟층을 넓혀
사업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었던 듯 하나
흥행 실패로 그런 건 없는 일이 되었다
의의가 있다면 그래도 일요일 아침에 1년동안 했다는 것이 효과가 크긴 했다는 것
당시 신규팬 유입에 큰 공헌을 했었고
당시의 고전 팬들 사이에서도 어느정도 호불호는 있었지만 좋아해준 팬들 역시 많았다
현 시점에서는 어렸을때 이걸 보고 자랐던 팬들도 최소 20대 중반이다보니 고전 팬들과 사이좋게 -틀-이 되었고
완전한 흑역사 취급까지는 받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KBS랑 투니버스에서
은하공주 디지캐럿이라는 제목으로 틀어줬었다
(데지코가 한국에 진출했다는 제작사 보도자료)
수입사에서 디지캐럿으로 한국 애니 행사에 참여도 하고,
다양한 상품도 출시하고
원작자가 축전을 보내주는 등
브로콜리에서도 어느정도 기대를 걸었었던 듯 한데
한국에서의 흥행은 더 처참해서
26화로 조기종영되었었다
원인은 투니버스같은 애니채널의 전성기인 그때에
굳이 지상파에 방영했다는 점
시간대도 금요일 오후 4시로
아이들이 보기 힘든 시간대였었던 것으로 추측된다